대학원기록관리학과기록관리학과 안내

기록관리학과

[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시행령 제 78조]
①법 제41조제2항에 따른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한다.

  • 1. 기록관리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
  • 2.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서 안정행정부령으로 정하는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하고, 안전행정부장관이 시행하는 기록물관리전문요원 시험에 합격한 사람
    • 가. 기록관리학 학사학위를 취득한 사람
    • 나. 역사학 또는 문헌정보학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사람

개설 학위과정

석사과정 > 학과간 협동과정

학과소개 및 특성

  • 소정의 과정을 이수하여 기록 관리학 석사학위를 취득하면 “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”에 의허하여 기록물관리전문요원 자격 획득
  • 중앙 및 지방의 각종 공공기관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배치가 법적 의무사항이므로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 급증
  • 기록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대로 민간기관의 전문요원 수요 확대 예상
  • 기록관리기관 실습을 통해 실무능력 배양

학부 관련학과

문헌정보학과, 사학과, 역사교육학과

교육목표

  • 1 기록관리의 실무능력을 갖춘 유능한 기록관리 전문가를 양성한다.
  • 2 기록관리의 이론적 탐구를 통해서 연구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한다.

교육과정표

구분 교과목 학점 시수
공통필수 연구과제 1 1
전공 기록관리학개론 3 3
기록관리실습 3 3
기록의 수집과 평가 3 3
기록의 정리와 기술 3 3
기록정보서비스론 3 3
전자기록관리론 3 3
기록보존론 3 3
기록관경영론 3 3
기록관리 법제 연구 3 3
특수기록관리 3 3
한국기록의 역사 3 3
한국기록사료 연구 3 3
동양기록의 역사 3 3
서양기록의 역사 3 3
지방사 연구 3 3
고문서 세미나 3 3
역사문헌강독 3 3
역사문헌세미나 3 3
기록관리학세미나 1 3 3
기록관리학세미나 2 3 3

교수요목

  • 연구과제 (Assignment for Study) 주제를 중심으로 이에 관련된 논문을 읽으면서 개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한다.
  • 기록관리학개론(Introduction to Records & Archives Management) 기록관리학의 역사와 연구범위, 주요 개념과 이론 등을 개관함으로써 기록관리 실무와 연구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.
  • 기록관리실습(Acquisition and Appraisal of Archives) 기록의 수집과 평가, 정리와 기술, 보존처리, 정보서비스 등 기록관리의 모든 과정을 기록관리 현장에서 실습함으로써 실무능력을 배양한다.
  • 기록의 수집과 평가(Acquisition and Appraisal of Archives) 영구보존기록의 선별과 평가, 수집, 폐기 활동에 관련된 이론과 기법을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.
  • 기록의 정리와 기술(Arrangement and Descripition of Archives) 기록을 활용하기 위한 일련의 조직 과정, 즉 분류와 배열, 목록과 색인의 작성에 관련된 이론과 기법을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.
  • 기록정보서비스론(Information Services in Records Centers and Archives) 기록정보서비스의 철학과 기능, 과정과 방법에 관련된 이론과 기법을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. 정보공개, 참고정보서비스, 이용교육, 기록이용 촉진을 위한 홍보와 전시 등이 다루어진다.
  • 전자기록관리론(Electronic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) 전자기록관리의 전 과정에 관련된 사회적 배경과 기술적 문제들을 이해한다. 그리고 효율적인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의 설계와 구축 방안을 다룬다.
  • 기록보존론(Preservation of Archives) 기록의 역사적 및 법률적 증거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보존과학의 지식과 실제적 문제를 다룬다. 각종 기록매체별 보존과 보호, 손상된 기록의 복원 등에 관련된 이론과 기법, 그리고 보존계획과 재난관리 등 관리적 측면의 문제를 다룬다.
  • 기록관경영론(Management of Records Centers and Archival Institutions) 전략계획 수립, 조직 관리, 인적 자원 개발과 물적 자원 관리, 대외협력 등 기록관 경영의 제반 문제에 대한 이론적 학습과 함께 제기되는 이슈들을 탐구함으로써 아키비스트에게 요구되는 경영자로서의 자질을 개발한다.
  • 기록관리 법제 연구(Studies in Records and Archives System) 한국의 기록관리 관련 제반 법률 체계와 행정제도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현재 상황을 이해하고 이를 주요 국가와 비교 고찰한다.
  • 특수기록관리(Management of Audiovisual Archives) 사진기록, 구술기록, 동영상기록 등 특수기록의 관리에 관련된 제반 문제를 연구한다.
  • 한국기록의 역사(History of Archives and Records in Korea) 한국사에 나타난 기록 및 기록관리의 역사를 다룬다. 특히 사서 편찬 등에 나타나는 한국기록의 전통 및 기록관리의 목적과 의의, 그리고 이와 관련된 변천 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.
  • 한국기록사료 연구(Studies in Records in Korea) 한국의 기록사료를 검토하고 그 가운데 중요한 것들을 발췌하여 강독함으로써 사료와 내용을 분석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평가한다. 아울러 전통사회의 자료뿐만 아니라 근현대 사회의 각종 기록물들을 분석하면서 올바른 자료 활용을 위한 정보능력을 배양한다.
  • 동양기록의 역사(History of Archives and Records in Asia) 중국의 역사편찬 전통을 검토하고, 역대 왕조 및 중화민국시대 이후에 이르는 중국의 사관 및 기록관을 이해한다.
  • 서양기록의 역사(History of Archives and Records in the West) 서양 각국 기록문화의 역사 및 기록관리 제도의 변천을 검토한다. 단순히 유럽 및 미국의 기록보존의 전통과 그 역사적 의의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, 현재 서양세계 각급 기록보존소의 다양한 활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.
  • 지방사 연구(Local History) 읍지류, 향교 및 서원의 자료, 그리고 기타 공ㆍ사문서를 검토하면서, 각종 지방사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전통문화를 이해하는 고문서 자료로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.
  • 고문서 세미나(Seminar in Paleography) 문서가 지니는 문화ㆍ역사자료로서의 가치를 인식하고, 역사상에 나타난 고문서의 특징, 수집 및 관리, 그리고 그 활용 방안 등에 관하여 논의한다.
  • 역사문헌강독(Readings in Historical Sources) 역사문헌을 검토하고 유형별로 선정하여 거기에 담겨진 내용을 강독한다.
  • 역사문헌세미나(Studies in Records in Korea) 역사문헌과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여 기존의 연구를 기반으로 토론하고 심층적으로 탐구한다.
  • 기록관리학세미나Ⅰ(Seminar in Archival StudiesⅠ) 최근 기록관리학계의 연구동향을 심도있게 검토하고, 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를 망라하는 제반 이슈들에 대해 논의한다.
  • 기록관리학세미나Ⅱ(Seminar in Archival StudiesⅡ) 최근 기록관리학계의 연구동향을 심도있게 검토하고, 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를 망라하는 제반 이슈들에 대해 논의한다.